1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문화예술인들은 창작활동의 위축을 넘어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예술인들을 돕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방역지침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는 한 문화예술계의 피해는 점점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이후 시대를 대비해 울산의 지역문화예술 관련 정책 연구가 더 활성화 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울산문화재단(이하 재단)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울산의 문화예술정책 말하다’를 주제로 발간한 울산문화예술정책연구보고서에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각 지자체에서 지역고유의 문화자원 개발과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2007~2016년 기준으로 전국 15개 연구원의 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문화예술연구와 관련해 총943건의 연구보고서 중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경우 37%(346건)의 가장 많은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지역별로는 강원연구원 9%, 서울연구원이 7%로 그 뒤를 이었는데 울산은 3%로 가장 낮은 연구비율을 나타냈다.
특히 울산은 문화예술분야보다 도시개발에 관련된 연구주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공업도시로서 문화예술에 대한 진흥정책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드러나 코로나이후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로 다양한 문화예술정책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재단은 코로나이후 울산의 문화예술정책과 관련한 공립기관의 과제로 ‘위기 대응 본부’ 설치와 ‘객관적인 코로나19 피해 울산예술인 실태조사’를 제안했다.
코로나19 뿐 아니라 이후 예측할 수 없는 위기 발생 시 울산의 문화예술분야 위기 대응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며, 이는 지역문화재단내에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봤다. 또 ‘객관적인 코로나19 피해 울산예술인 실태조사로 지역문화예술인들의 코로나19 피해상황에 관한 객관적 데이터를 구축해야 지속적으로 가능한 문화예술생태계 춤형 지원 정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재단은 또 코로나이후 시대를 대비, 문화예술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반 문화예술 창작활동을 위한 예술인 교육을 위해 울산시청자미디어센터, 울산 VR AR 제작거점센터가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더불어 예술인 복지를 개선하고 제도화시켜 나아갈 수 있는 울산예술인복지센터 건립과 예술활동 증명의 제도화, 권리보장법, 예술재난보험, 문화비상기금, 기본소득제도 등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단은 예술인들에게는 위기대응과 문화예술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온라인 문화예술 창작이나 플랫폼 유통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한 미디어 교육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해 개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출 처 : 울산매일신문